영양학

[생애주기 영양학] 5. 미취학 아동기 영양

소소한하루하루 2022. 7. 21. 03:06

- 영아기 보다 성장속도 감소

1. 미취학 아동의 신체 발달

1. 신장과 체중의 발달
- 만2세 이후 연간 체중 증가량 1.8~2.7kg
- 신장 : 7~8cm씩 성장(만 1세~7.8세)
- 만 4세에 출생시의 2배(100cm정도)

2. 기타 성장 특성
- 유년기에 두뇌의 급격한 성장(2세 50%, 4세 75%, 6~8세 100% 성인 비슷한 수준)
→ DHA 양이 같다는 것(질량)
- 출생~2세까지 영양상태에 의해 중추신경계가 영향 받기 쉬움
- 영양섭취부족은 뇌에 비가역적 손상 줌(늦어도 만4세까지는 영양에 신경써야 함)
- 연령 ↑ → 근육량 ↑, 피하지방, 수분비율 ↓
- 여아는 남아에 비해 피하지방의 축적량이 더 많음
- 과량의 단백질 섭취 - 칼슘의 보유 방해


2. 미취학 아동의 영양섭취 기준

1. 에너지
- 1~2세 : 1000kcal, 3~5세 : 1,400kcal(성장하느라 에너지 밀도 높은 것으로 먹여야 함)
- 에너지 밀도 높은 음식 : 말린과일, 견과류, 치즈, 식물성 기름

2. 단백질
- 체중 kg 당 1.2g(1~2세), 1.1g(3~5세)

3. 탄수화물
- empty calory food(탄수화물 이외의 영양소는 거의 없는 식품)
- 곡류(국수, 빵 등) 및 콩류와 같이 복합당질에 많이 든 식품은 우수한 에너지원, vit.B군 섬유소의 급원

4.지질
- 필요한 양 만큼의 충분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적당량의 지질 섭취 필요
- 이 시기의 지질섭취 제한은 에너지, 필수지방산 섭취 부족, 지용성vit의 흡수 장애를 가져옴 →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됌

5. 비타민
1) 지용성 비타민
- vit.A : 정상적인 발달, 성장, 정상적인 상피세포의 발달, 질병에 대한 저항력 증가, 뼈,치아 형성과 밀접한 연관. 간, 우유, 노른자, 버터 등 동물성 식품, 녹황색채소의 충분한 섭취
- vit.D : 골격성장에 필수적, 동물성 지방에 多
- vit.E : 불포화지방 섭취 ↑ → vit.E 섭취 ↑

2) 수용성 비타민
- vit.C :성장, 감염에 대한 저항력 증가(과일주스, 갈거나 으깬과일 →vitC파괴) 생과일이 가장 좋은 급원
- 단백질 섭취 ↑ → Vit.B6 섭취 ↑ *vitB6가 단밸질대사에 관여

6. 무기질
1) 칼슘과 인
- 칼슘 인의양적 균형 중요
- 도정X곡류, 말린콩, 청록색 잎 채소, 종자류, 견과류 등에도 상당량의 Ca 함유(흡수율은 ↓)
- 유당불내성(이유식 섭취하면서 우유 분해효소가 점점 ↓ - 기질에 의한 효소의 유도 현상) - 우유 조금씩 늘려감
- 가공식품 섭취 ↑ - 인의 섭취량 ↑
(많을 시 골격에 Ca가 축적되지 않음 - 아질산 나트륨, 인산나트륨, 요구르트, 스프, 청량음료 등)

2) 나트륨
- 5세 이전에 짜게 먹는 식습관형성 좋지 않음

3) 철
- 성장기 동안 필요량 매우 높음(신체 각 부위로 산소의 운반, 이동 및 체내 효소 반응에 필요)
- 철 영양제 복용 권장 X(임신기에만 권장)
- 비 헴철 - 식사 시 vit.C 함께 섭취 시 흡수량 ↑
- 1~5세 철 권장 섭취량 : 7mg
- 철권장량 충족키 어려움(미취학 아동이 한 번에 먹을 수 있는 고기 요리 중에 3mg의 철 함유)

4) 아연
- 체조직, 아연이 꼭 필요한 효소 : 인슐린, 알코올 탈수 효소(ADH), SOD(항산화 효소)
- 저소득층어린이, 편식이 심한 어린이에게서 결핍 가능성 큼
- 아연함량 높은음식 : 육류, 생선

5) 불소
- 충치 발생 막아주는 역할
- 적정불소농도 1ppm
- 적정농도의 불소가 fluoroapatite형태로 치아의 에나멜 표면에 계속 축정 → 치아 단단, 산에 대한 저항력 ↑
- 치아의 에나멜층이 형성되는 시기(성장기)에 과량의 불소에 노출되면 치아에 반점을 남김


3. 미취학 아동의 식사지도

1. 미취학 아동을 위한 식사 구성안
- 1일섭취량 4~5회(정규식사, 간식) 적절히 배분하는 식사계획 필요
- 간식 : 소량제공(너무 많으면 규칙적인 식사에 해가 됨) 설탕, 지질함량이 높거나 짭짤한 간식 피하기
- 단백질 : 어육류군 하루 3회정도 제공. 1~2세어린이(씹기 힘듦). 조리한 햄버거, 고기완자, 달걀, 뼈 제거한 생선, 닭고기,두부
- 1~5세 까지의 어린이는 최소한 매일 2컵의 우유 마실 것
- 비타민, 무기질 섭취 위하여 채소, 과일섭취 중요
- 이가 나기전에는 소화되지 쉽게 채소는 익혀 잘게 다지고, 과일은 갈아서 섭취
- 잘 익은 바나나, 복숭아는 조리 않고도 섭취가능
- 씹을 수 있는 음식들을 적당히 식단에 포함 → 부드러운 음식만 먹으려하고 씹기를 싫어하는 식습관을 가지지 않도록 주의

2. 미취학 아동을 위한 시갓지도
- 평생의 식습관에 장기적 영향 줌
- 돌이 지나면서 점차 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. 혼자서도 먹을 수 있게 됨
→ 아이를 위한 작은크기 식탁, 의자. 높이 조정된 어린이용 의자 필요
- 가족과의식사시간 → 사회성 배우기 좋은 기회(식사예절, 식습관 배움)
- 소량 여러번 나누어 제공
- 피곤하면 잘 안먹음 → 놀고난 후 잠시 휴식 후 식사

* 어린이를 위한 식사지침
- 채소, 과일, 우유 매일 섭취
- 고기, 생선, 달걀, 콩제품 골고루 섭취
- 아침 꼭 먹자(일 2끼이상 밥으로 섭취)
- 간식은 영양소가풍부한 식품 섭취
- 불량식품 섭취 x
- 식사예절 지키자

3. 편식시 식사지도
1) 편식의 정의, 문제점
- 편식 : 특정식품만을 빈번히 먹거나, 섭취 거부하는 것
- 수년간 지속 시 기피하는식품에 함유된 특정 영양소의 결핍 나타날 수 있음

2) 미취학 아동의 편식실태
- 약 30~35%가 편식
- 단백질( 육류, 생선, 달걀, 콩) 섭취 ↓, 김치, 채소, 과일 섭취 빈도 ↓
- 아이스크림, 청량음료, 과자 등 단 음식의 섭취 빈도 ↑
- 니아신, 철, 칼슘, 아연의 섭취 부족한 아동 비율 ↑

3) 편식 아동의 식사지도


4. 아픈어린이를 위한 식사지도
1) 설사
- 원인 : 감염, 식중독, 스트레스, 여행과 같은 규칙적인 생활에서의 변화
- 설사 + 체온상승(37.5℃ 이상)
- 심한 설사시 : 24~48시간 동안 섭취X. 정맥주사, 영양공급
- 미약 설사시 : 24~48시간 동안 전해질 보충위한 액체 공급
- 너무 차거나 뜨거운 음료는 설사 악화 우려. 실온과 비슷한 온도의 액체공급
- 탄수화물, 지질 함량 높은 음식 제한
- 저 섬유소식, 저 잔사식
- 설사 시 사과 유용( 펙틴 - 수분 흡수하여 점도 있는 변 만듦)
- 바나나 - 손실된 K의 급원

2) 변비
- 채소, 과일류 섭취
- 수분 섭취 증가, 적당한 운동

3) 감기
- 대사율 증가 및 영양소 흡수율의 감소 → 더 많은 영양소 필요
- 식욕부진동반 → 체내 아미노산, 전해질, 무기질의 손실 증가
- 손실된 영야소 보충해 주는 식사 중요
- vit.C와 감기의 상관관계 입증되지 않음.


4. 우리나라 미취학 아동의 영양소 및 식품섭취 실태

- 단백질, 나트륨 섭취 많음
- 칼슘, 인 비율 - 칼슘 ↑, 인↓
- vit.A, C 충분히 섭취 중


5. 미취학 아동의 영양과 관련된 문제

1. 비만
- 유아기 비만 :지방조직의 세포두, 크기 모두 증가
- 청년기, 성인기 까지 비만이 지속되기 쉬움
- 성인병 발병과 관련 깊음
- 인격형성에도 문제 생길 수 있음
- 습관적 과식, 지방함량 높은 간식 섭취 음료 과자 빵 섭취 줄이고 활동을 늘려야 함

2. 빈혈
- 철의 흡수율이높은 식품(육류, 가금류, 생선)
- 과량의 우유만을 마시며 다른 음식먹지 않는 어린이의 경우 우유 부족에 의해 빈혈발생 가능성

3. 충치(치아 우식증)
- 성장시기 동안의 영양결핍은 치아 표면을 감싸고 있는 법랑질의 흡수성 증가시켜서 충치 발생율 증가

4. 납 중독
- 구석의 먼지, 벗겨진 페인트조각, 깡통조각, 기타 납 성분 주워먹기 쉬움
- 철, 칼슘, 아연과 경쟁하여 결핍초래
- 신체 균형 및 운동기능의 손상, 뇌에서의 신경 전달 이상, 성장 발달지연 등 심각한 증상

* 어린이 납 노출 줄이는 방법
- 집안을 꺠끗이
- 손을 자주 씻긴다
- vit.C충분히 먹이기
- 페인트 조심
- Fe의 섭취 늘린다(육류, 어패류, 달걀노른자, 간 등) / 부족시 Pb의 축적량 많아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