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양학

[위생곤충학 정리] 2. 위생곤충의 각론 (바퀴, 이, 빈대, 노린제, 모기, 깔따구, 등에)

소소한하루하루 2022. 7. 2. 15:48

1. 바퀴

1. 형태

1) 형태

- 두부 : 역삼각형, 촉각 : 편상, 다수절, 복안 : 대형, 구기: 저작형

- 흉부 : 전흉배판(대형, 타원형), 복부 : 10절

 

2) 생활사 및 습성

- 불완전 변태 (알(난협, 알주머니) - 자충 -성충), 탈피 5~8회(평균 6회), 질주형 다리

- 습성 : 잡식성, 가주성, 야간 활동성, 24시간 일주성, 군서 습성(집합 페로몬) : 바퀴의 분

 

3) 질병

- 직접적 피해 : 공포감, 자교, 특이체질 → allergy(호흡기 질환)

- 간접적 피해 :

  → 기계적 전파 :병원체 운반, 몸의 표면, 극모, 털, 먹이토사, 소화기간으로부터 분 배설

  → 병균(세균 Bacteria) : 흑사병(pest), 나병, 장티푸스, 콜레라, 파상풍, 결핵

 

2. 바퀴의 종류

1) 독일바퀴

- 세계적 가장 널리 분포, 불완전 변태 (알 - 자충 - 성충)

- 가주성 바퀴 중 가장 소형 10~15mm, 전흉배판 : 두 줄의 흑색종대

- 자충탈피회수 : 5~7회(평균 6회), 최적생육온도 : 30℃

- 수명 : 100일~1년이상

 

2) 이질바퀴(미국바퀴)

- 세계적 분포(북부지방 불서식), 대형바퀴 35~40mm, 체색 : 적갈색

- 전흉배판 : 가장 자리에 황색 윤상(띠)무늬, 가운데 흑색

- 자충탈피 : 9~12회

- 수명 : 약 1년

 

3) 집바퀴(일본바퀴)

- 일본 토착종, 저온 적응 바퀴(북부지역 서식)

- 체장 : 중형바퀴 20~25mm, 체색 : 흑갈색

- 전흉배판 : 요철면 자충탈피 : 9회

 

3. 바퀴의 구제

1) 환경위생관리 : 장기적 구제대책

- 음식물 관리 철저, 내외부 청소, 바퀴 은신처, 먹이제거

- 바퀴 침입 예방 : 방충망, 쓰레기통

 

2) 바퀴 침입 조사 방법

- 주간 바퀴 은신처,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: 바퀴흥분

- 야간 손전등 활용, 트랩 : 미끼트랩

 

3) 트랩살처

- 접착제(유인제) : 분해설치, 집합호르몬으로 유인효과

 

4) 살충제 사용

- 독이법 : 식독작용 : 육류, 빵가루 설정+식물성기름+살충제

- 연무 및 훈증법 : 속효성, 휘발성 있는 살충제를 연무 또는 훈연방법

- 잔류분무 : 1회 분무로 장시간 효과로 완전구제, 효과 : 가장 경제적인 방법

- 분제살포 : 손이 닿지 않는 장소(가구, 서랍, 냉장고)

 

 

 

2. 이

1. 엄격한 숙주 선택형

- 날개이목 : 닭날개이, 개날개이목

- 이목 : 사람이, 사면발이 

 

2. 날개이목

- 저작형 구기

- 조류에 기생, 소수 포유동물

- 숙주동물의 피부 죽은 표피, 깃털조각, 피부의 분비물 섭취

 

3. 이목

- 불완전 변태 : 알 - 자충 - 성충(흡혈성 외부 기생충 : 포유류에만 기생)

- 종류 : 사람이(몸이, 머릿이), 사면발이(음부 - 성교행위로 전파)

- 생활사와 습성 : 불완전 변태, 3회 탈피

- 흡혈형태 : 1~2mg흡혈/회, 몸이(1일 2회), 머릿이(2시간 간격 흡혈)

 

4. 이 매개 질병  : 발진티푸스, 참호열, 재귀열(상처난 피부, 점막오염)

 

5. 이의 구제

- 환경위생, 개선보건교육, 몸이 구제 방법  10% DDT분제

- 머릿이, 사면발이의 구제  25% bezyl benzoate 유제 세척

 

 

 

3. 빈대

,1. 형태

- 약 6mm 내외의 평평한 난형으로 진한 갈색

- 1쌍의 복안, 4절의 촉각

- 암놈 : 제4복판에 각질로 된 흠이 있어서 그 속에 베레제기관(정자를 일시적 보관장소 = 수정낭)

 

2. 생활사 및 습성

- 불완전변태, 자충 : 5회 탈피(6~7주), 야간 흡혈성

- 발육최적기온 : 13℃(이하일 경우 발육 정지)

 

3. 피해 : 자교 - 질병매개는 많으나 피부반응, 피부감염, 수면부족

 

4. 구제 : 훈증법, 잔류분무법 : 효과적(40cc/m²)

 

 

4. 트리아토민 노린제

1. 아메리카형수면병(샤기스병), 불완전변태, 암수(흡혈), 자충 5회 탈피

2. 환경개선, 잔류분무 -HCH

 

 

 

5. 모기

1. 형태적 특징

1) 성충 : 전방우로 돌출한 주둥이, 큰 복안, 긴 촉각, 온몬에 비늘

2) 유충 : 종 분류의 특징(견모군, 호흡관모, 줄기, 축줄, 호흡관ㅂ비)

 

2. 생태

1) 생활사 : 완전변태, 유충 4회 탈피, 생활사의 총 기간 : 10~16일

2) 교미습성 ; 숲모기속, 1:1 교미, 그 외는 군무현상

3) 흡혈습성(암모기맘 흡혈), 타액주입(항응혈성 성분함유)

4) 숙주의 발견요인 : 근거리(시각 1~2m), 중거리 : 탄산가스(10~15m), 원거리 : 체취(15~20m)

5) 0.01%의 CO2를 감지하는 감각기관 : 촉수(촉각과 주둥이 사이), 흡혈후 2~3일 휴식

- 흡혈목적 : 일생동안 먹이(이, 빈대, 집진드기), 성충먹이(벼룩, 침파리), 암놈산란(모기, 등에)

6) 흡식습성

- 옥내휴식(실내, 축사의 내벽) : 중ㄱ구 얼룩날개 모기

- 옥외휴식(동굴, 하수도 통) : 작은 빨간집모기

7) 산란습성

- 흐르는 개울, 관개수조 ; 중국얼룩날개모기

- 대형 정지수(늪, 논, 호수) : 중국얼룩날개모기, 작은빨간집모기

- 소형 인공용기 : 빨간집모기(c.pipiens)

- 인공적으로 더러워진 물(하수구, 오물처리장) : 빨간 집모기

- 자연적인 소형 발생원(바위구멍, 나뭇잎 사이) : 숲모기

8) 계절적 소장

- 중국얼룩날개모기 : 한여름(7~8월)

- 작은빨간집모기 : 늦여름(8~9월)

- 빨간집모기 : 발생계절 변동없이 계속

- 월동시기 : 기후의 변동(온도, 일조시간 : 10시간)

 → 빨간집모기(성충) : 동굴, 지하실

 → 중국얼룩날개모기(성충) : 수풀

 → 숲모기 : 알에서 월동

※ Diapause(휴면기)현상 : 곤충의 월동기간에 생식기능은 중지되어 월동준비가 완료된 상태

 

 

3. 한국산모기의 분류

1. 작은빨간모기(Culex Tritgeniorhmchus)

- 주둥이 중앙에 넓은 백색 띠, 다리 각 절 끝에 작고 흐린 백색 띠 有

- 호흡관은 길고 가늘다, 줄치(복무미절) 11~14개, 축줄 : 30~40개

- 일본뇌염을 매개(증식형)

- 가장 멀리 비행

 

2. 중국얼룩날개모기(Anopheles sinensis)

- 말라리아(발육증식형) 전파

- 7~8월에 다발, 유충의 복절배판에 장상모(수면 수평 유지)

- 촉수의 각 마디 말단부에 좁은 흰 띠

 

3. 토코숲모기(Aedes togoi)

- 약 4.5mm 흉부의 순판에 흑갈색 바탕에 금색비늘로 된 종대가 중앙선, 아중앙선, 봉합선에 각 2줄

- 말레이사상충 매개(발육형전파)

- 다리의 각 부절기부와 말단에 흰 띠

- 이른 봄부터 늦은 가을까지 발생

- 해변가 바위고인 물에도 발견

- 주간 활동성

 

 

 

4. 모기매개 질병

1. 말라리아

- 중국얼룩날개모기가 매개

- 종류 : 양성 3일열(우리나라) plasmodium vivax

- 모기의 위속에서 암수생식모체수정

 

2. 사상충병 : 제주도, 해안지방 : 토코숲모기

3. 황열병 : 에집트숲모기(도시형), 아프리카숲모기(밀림형)

4. 뎅기열 : 에집트숲모기, 흰줄숲모기, 뎅기출혈열 : 에집트수폼기

5. 뇌염 

- 매개종 : 작은빨간집모기

- 발생시기 : 8월 중순에서 9월중순(90%)

- 증폭숙주 : 돼지

- 환자로부터 직접 감염이 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를 격리시키지 않음

 

6. 모기의구제 

- 물리적 구제방법

  → 환경이용 : 발생원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궁극적인 방법

  → 트랩이용 : 유문 등

- 화학적 구제방법

  → 유충구제 : 발생원에 유제, 수화제, 입제 살포

  → 성형구제 : 공간살포(aerosol, 가열연무기, 극미량연무기), 잔류살포(옥외휴식습성)

- 생물학적 구제방법

  → 포식동물 : 새, 거미, 잠자리, 물고기, 왕모기 등

  → 기생충, 병원체 불임응충의 방산

 

 

 

6. 등에모기(성충의 형태)

1. 체장 : 2mm 이하의 미세한 곤충, 흡혈성

2. 체색 : 흑색 또는 암갈색의 튼튼한 몸

3. 짧은 다리, 군무에 의한 교미

4. 촉각 : 13~14절

5. 매개질병 : 사상충증(오자르디사상충)

 

 

 

7. 모래파리

1. 체장 : 2~3mm의 미소하고 섬세한 파리

2. 체색 : 황백, 회색

3. 눈 : 크고 현저하며 검사

4. 두, 흉, 부에는 긴 털로 덮여 있다

5. 흡혈성의 곤충이므로 질병매개

6. 촉각 : 16절 시상

7. 매개질병 : nuisance, 리슈마니아증, 파파티시열

 

 

 

8. 곱추파리

1. 체장 : 1~5mm

2. 체색 : 검은색을 띠나 일부는 황색 또는 오렌지색

3. 두부 : 곱추형이므로 머리는 전흉복부에 붙어 있따

4. 날개 : 매우 넓고 무색 투명 비늘은 없고 털도 없다

5. 생활사 : 식물성 즙을 섭취, 암놈만 흡혈, 알 부화기간 : 3~4일(열대지방), 유충 : 4열기, 낮에만 흡혈

6. 매개질병 : 회선사상충 매개(제주도 일원)

 

 

 

9. 깔다구

1. 파리목 : 1쌍의날개

2. 모기와 비슷하며 구부발달이 빈약하고 날개, 몸에 비늘이 ㅇ벗어 쉽게 구별되며, 유충의 피속에 있는 적혈구로 구성

3. 알 : 300~600개, 부화시간 : 1~2일, 수명 : 2~7일

4. 야간활동성, 강한 추광성

5. 오염수질에도 생존(BOD 10~20ppm), 구기가 퇴화

6. 매개질병 : Nuisance, allergy, 천식

 

 

 

10. 등에(Horse fly, God fly)

1. 흡혈습성, 파리목, 주간활동성, 자충만 동물 공격

2. 강한 주기를 이용(단각아목), 유충시 수중의 절지동물 섭취

3. 매개질병 : 튜라레미아, 로아사상충병, 수면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