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영양학

[위생곤충학 정리] 3. 위생해충의 구제 및 구서 - 살충제

3. 살충제

1. 유기염소계 살충제

1) 특징 : DDT, 유사 화합물, r-HCH, 염소화환상 화합물, 중추, 말초 신경계 공격, 살충력이 높고 잔효기간이 길다
2) DDT
- 축적에 의한 환경오염 발생, 포유동물에 비교적 저독성
3) HCH
- 1942년 영국 BHC(Benzene hexachloride)
- WHO → BHC(Lindane) 'r'이성체 살충력 가장 ↑(99% Lindaene)
- 살충력 DDT보다 높고, 인체 독성은 DDT가 높다
- 잔효성이 있으며 0.5g/m² 잔류분무 시 4~6개월 이상 유지, 훈증 작용, 속효성
4) 염소화 환상 화합물
- 고도 염소화합 탄화수소 반응 합성
- 물에 불용성, 열, 공기, 일광에 안정, 잔효성이 높다

2. 유기인계 살충제

1) 마라치온(Malathion)
- 황갈색 액체 pH 5~7 가수분해 용이, 유기인계 중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이 가장 낮다(저독성)
- 잔효성은 유기인계 중 가장 길다(2g/m³ = 4개월), 미세입자의 증발 속도가 낮아 공중살포에 적합
- 유기 인계로 가장 많은 저항성

2) 다이아지논(Diazionon)
- 암갈색 액체, 속효성, 잔효성이 짧다, 포유동물에 저독성
- 해충 전반에 살충력 : 집파리 구제, 벼룩, 바퀴 구제용

3) 휀치온(Fenthion)
- Baytex, Entex, Lebeycid : 상표명, 갈색 액체, 잔효기간이 길다
- 파리, 모기, 이, 진드기 살충력이 강하다(특히 모기유충구제 - 수질오염지역 효과적)

4) 훼니트로치온(Fenitrothion)
- 일본, 스미모도 회사 개발(sumithion, folthion = 상표명)
- 황갈색 유상액체, 포유동물에 저독성, 물고기에 독성이 낮다
- 잔효성이 길다(2g/m³ = 4개월), 잔류분무, ULV연무, 벼룩 구제 : 분제, 바퀴구제 micro capsule 제제

5) 파라치온(Parathion)
- 황갈색 액체, 마늘냄새, 훈증제, 속효성, 모든 곤충에 살충력 대단히 높다(DDT의 10배)
-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이 유기성 살충제 중 가장 높다(맹독성), 방역용 살충제 부적합 약제

6) methyl-parathion
- 암갈색 액체, 인체 독성이 강하여 방역용 살충제 부적(독성이 가장 높다)

7) EPN
-황색 결정 분말, 포유동물에 대한 독성이 매우 높다, 과수해충구제사용

8) 휀크로포스(Fenchlophos) ← Ronnel, Etrolene
- 백색결정, 인체독성이 낮아서 파리, 벼룩, 이, 바퀴 구제(집파리 구제 - 잔류, 공간살포)

9) 트리크로폰(Trichlorphon) = Dipterex
- 백색결정체, 유기용매에 용매(단, 석유제외), 파리구제시 고체, 액체 외 미끼와 혼합사용

10) 디크로보스(Dichlorvos) = DDVP, VAPONA
- 유상액체, 강한 훈증작용, 잔효성↓, 속효성, 강력한 살충력, 가정용 aserosol bomb : 공간살포 space spray
- 중독위험 : 인체독성(경피독성), 잔효성이 없어 잔류 분무에는 부적당

11) 나레드(Naled) = dibron : 훈증작용, 속효성: 공간살포
- 포유 동물에 저독성, 살충력 강하여 해충구제에 널리 사용(현재 파리, 모기 구제에 가장 널리 사용)

12) 템포스(Temphos) = ABATE
- 갈색 접착성 액체, 모기 유충에 대한 구제 효과, 인체에 무해

13) 디메소에이트(dimethoate)
- 백색 결정체, 포유동물에 저독성, 식독, 접촉독 사용, 집파리 구제용

14) 크로피리포스(Chlorpyrfos) = DUSBAN
-백색 분말결정, 잔효 기간이 짧아 속효성 : 공간살포 사용
- 모기 유충 구제 효과, 인체 독서잉 높고 구리, 놋쇠 부식시킨다

15) 크마포스(Coumaphos) = CO-RAL
- 백색 결정, 진드기, 등에, 이 구제

16) 피리다펜치온(Pyridaphenthin) = ofumack
- 많은 위생해충에 살충력 = 잔효성(접촉제 사용)

17) 휀바레레이트(fenvalerate) = sumicidin
- 농림해충 구제용, 진드기 구제

18) 에소펜프록스(ethofenprox) = trebon : 잔효성

19) primiphos-methyl = actellic : 모든 해충 사용, 공간 살포, 잔류 분무

2. 카바메이트계 살충제

- 인체 중독 위험성이 유기인제에 비해 적다
1) 프로폭스(Proroxr) = BAYGON, arprocarb
- 속효성, 잔효성(2g/m³ 3~4개월) → 잔류 분무용
- 해충 전반에 걸친 구제효과, 가정 해충 구제용 : 에어로졸, 잔류분무, 독먹이(식독제)

2) 카발리(Carbaryl) = SEVIN
- 카바메이트 중 현재 가장 널리 사용, 포유동물의 저독성
- 집파리에 대한 구제 효과 좋지 않다. 훈증 작용, 지효성

3) 피로란(Pirdian) = G-22008 : 잔효성= 접촉제(잔류분무용)
4) benfuracarb = ONCOL : 잔효성=모기, 침노린재 잔류 분무
5) Bendiocarb = FICAM
6) Cartab = PADAN : 바다 갯지렁이의 독성물질 분리,
7) metolcarb = Tsumacide : 농림 해충 목적의 잔류 분무용
8) isoproccarb = 농업해충 구제용

3.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

1) 피레스린(Pyrethrins)
- 저농도 pyrethrins + 효력증강제 piperonyl butoxide(1:10 qldbf tkdyd)

2) 합성피레스로이드계
- 1949년 아레스린(Allethrin) : 집파리구제용(모기향 사용시 속효성 ↑)
- 1965년 테트라메소린(Tetramethrin)
- 페메스린(Permethrin) : 잔류분무(개미, 바퀴), 테트라메스린(Tetramethrin)
- 델타메스린(Deltamethrin)
- 프라스린(Prallethrin), 싸이페노스린(Cyphnothrin)
- 엠펜스린(Empenthrin) = Vaporthrin

4. 효력증강제

- 살충력은 없으나 살충제와 혼용 시 단독시 보다 효력 증강, 곤충체내에서 무독화작용 방해 작용
- 참기름, sulfoxide(무독화), pipernoyl butoxide : pyrethin = 10 : 1

5. 기피제

- 곤충이 싫어하거나 기피하는 화학물질, 날아다니는 곤충의 공격을 피하기 위하여 얼굴, 목, 손발
- 크림, 로션, 에어로졸 형태(benzyl benzoate, endrin, naphtalene, pdybatanes, thiam)


4. 살충제의 독성

1. 독성 종류에 따른 분류
- 경구 독성 : 호흡 시, 소화기관 흡수(식독제, 훈증제)
- 경피 독성 : 외부 접촉 시 흡수(접촉제)

2. 중독량에 따른 분류
- 급성 중독 : 1회 수차에 걸친 접촉
- 만성 중독 : 미량의 살충제에 장기간 접촉

3. 독성도에 따른 분류

독성의 분류 경구 독성 경피 독성
고도독성 0~50 mg/kg 0~200 mg/kg
중도독성 50~500 mg/kg 201~2,000 mg/kg
저도독성 500~5,000 mg/kg 2,000~20,000 mg/kg
극미독성 > 5,000 mg/kg > 20,000 mg/kg

*LD50(leteral dosis, 중앙치사량), 독성의 단위(mg/kg)
쥐를 시험대상으로 공시동물의 50% 치사시킬 수 있는 살충제의양 = 반수치사량, LC50(중앙치사 농도)

4. 살충제와 같은 농도의 제제위험도
- 용제 > 유제 > 수화제  > 분제 > 입제


5. 살충제에 대한 곤충의 저항성

1. 저항성
- 곤충의 대다수를 치사시킬 수 있던 살충제 농도에서 대다수가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이 발전하였을 때
→ 감수성의 5~10배의 치사 농도 요구 시
→ LD50이 10배 이상 증가 시
1) 개체군의 크기, 살충제의 접촉빈도, 곤충의 습성, 유전인자의 성경에 의해 결정
2) 생리적 저항성 : 선천적 유전인자에 의한 저항성

2. 내성
- 살충제에 대항하는 힘이 증강되었을 경우
- 내성요인 : 체중이 증가하여 외적 압력이 강하게 전파, 다리의 부절, 각질이 두꺼워지는 경우
- 생태적 저항성 : 살충제에 대한 습성적 반응 변화 시 치사하지 않을 능력
- 교차 저항성 :화학 구조가 유사한 다른 약제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저항성을 나타내는 경우


6. 살충제의 적용방법

1. 독이법(Poison baits)

- 미끼 먹이를 이용하여 곤충이 좋아하는 먹이와 혼합 독먹이를 유인
- 대상 곤충 : 바퀴, 파리, 벌, 개미
- 최저 치사농도를 사용하여 먹이의 기호성 채택

2.공간살포(Space spary)

1. 대상 곤충의 활동 장소에 살충제를 미립자로 분사시켜서 경구, 경피중독으로 치사시키는 방법

2. 공간살포방법 : aerosol bomb, 가열연무, 극미량연무기, mist
1) 에어로졸
- 살충제 원체 + 유기용매 희석 + 프레온, 디메칠에틸, 염화에틸렌 → 압축액화, LPG 가스와 혼합 + 내압금속용기에 넣을 것
- 모기, 파리 구제용(10~20μ)
- freon 가스 사용할 때 → O₃층 파괴, 화재위험

2) 가열연무
- 살충제(용제)+경유 혹은 성규 → 기화(미립자
형성)(0.1~40μ)- 가열연무기 : swing fog -10, dyna fog junior dyns fog -400

3) 극미량연무(ULV, cold fogging)
- 입자 5~50μ이하 미립화 + 고농도 원제 그대로 사용
- 장점
→ 석유, 경유 등 희석용매가 필요없이 경비절약, 장시간 살포가능
→ 고열에 의한 살충제 손실과 입자의증발억제, 살충효과가 높다
→ 연막에 의한 교통사고 위험 우려가 적다.
- 살포방법 : 노즐이 하향하지 않고 45º각도 상향 고정

3. 미스트

- 입자크기 : 50~100μ
- 연무와 분무의 중간 → 공간살포+잔류분무 효과

4. 잔류분무

- 입자의 크기 : 100~400μ
- 곤충의 휴식장소, 서식장소, 활동장소에 잔효성 살충제 입자
- 분무장소별 효과
→ 유리, 타일 > 페인트 칠한 나무벽 > 시멘트벽 > 흙벽, 일사, 그늘 > 햇빛
- 휴대용 : 공기압축 분무기

5. 분제살포

-잔효성, 살충제 입자를 잔존시켜 장시간 살충효과
-이, 벼룩, 진드기, 독나방 구제용 : 사람의 옷, 가축, 물의 몸, 벌집 공격, 바퀴의 구제

6. 훈증법(fumigation)

- 밀폐전 공간에 유독물질을 호흡각, 가공 → 체네 흡입 치사
- 창고의 곡물, 목재, 선박내의 쥐, 바퀴 구제


7. 위생곤충의 채집 및 보존

1. 채집방법

1. 목적
- 그 지역에서 매개종의존재여부확인
- 매개종의 밀도나 흡혈빈도 조사
- 매개종의 병원체 감염율 조사
- 살충제의 살포, 기타 방법의 방제 효과
- 살충제의 감수성, 저항성 여부 → 생물학적 검정 방법

2. 방법
1) 모기성충 채집
- 유문등 light trap(개체군밀도, 분류목적, 다사용)
- 채집효율 : 백열등 < 형광등 < 흑색형광등, 유문 등
- 흡충관 및 직접 전지 : 완전화 상태 모기 채집

2) 모기유충채집 : 수서 곤충망(국자, 스포이드, 채집병, 곤충망)

3) 파리성충채집 : 곤충망, fly grill(파리격자) : 파리 밀도 조사

4) 기타 곤충채집
- 흡충관 : 소형파리, 등에모기, 나방파리
- 마취제 : 진드기, 이, 벼룩,
- 베레스 원추통 : 쥐니 새의 둥지, 쥐구멍 둘레 흙 조사 채집

2. 표본제작

1. 살충방법
- 곤충흡입관 : 클콜로로폼관( chlorofom tube)
- 액체 표본 : 이, 벼룩, 진드기, 거미, 구더기(75% alcohol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