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임상영양학] 4. 장 및 부속기관 질환의 식사요법
흡수불량 증후군 1. 유당불내증 1. 원인 : 선천적 라타아제 결핍. 장내유당분해효소의 활동성 저하(2차적 현상) 2. 증상 : 복부경련, 팽만, 복통, 설사(소화되지 않은 유당이 장내에 잔류 → 삼투효과 → 장관 내 수분 유입 → 장내 세균에 의해 발효 → 지방산, 탄산가스, 수소발생) 3. 식사요법 1) 장기간 우유중단 X 2) 유당분해효소로 처리한 우유 섭취. 우유,유제품+유당분해효소 정제와 함께 섭취 3) 발효된 유제품(치즈, 요구르트)이용 4) 식사 후 소량 씩 천천히 섭취 5) 따뜻한 우유로 소량씩 섭취 6) 단독X, 다른식품에 첨가, 조리한 음식으로 섭취(전분질, 설탕 믹스 → 푸딩, 카스테라, 밀크쉐이크, 크림스프 등) 2. 글루텐 과민성 장질환 (= 비열대성스푸루, 실리악 스푸루, 포진상..
[임상영양학] 3. 장 및 부속기관 질환의 식사요법
1. 췌장염 1. 위치 : 위&십이지장 사이의 후편에 위치 2. 길이 : 20~25cm 3. 일 1.5~2L의 pH8.5의무색의 알칼리성 췌장액 분비 4. 내분비 기능- 호르몬 분비 * 랑게르한스 섬의 α 세포(25%) - 글루카곤 분비 → 글리콘겐 분해 → 혈당 상승 * 랑게르한스 섬의 β세포(60%) - 인슐린분비 → 글리코겐저장 → 혈당 저하, 정상혈당 유지 5. 췌장염의 종류 : 급성췌장염, 만성췌장염 1. 급성췌장염 1. 원인 : 담석증, 알코올 과잉섭취, 고지혈증, 당뇨, 부갑상선기능항진증, 약물복용 2. 증상 : 상복부의 심한 통증 1~3일 간 지속, 구토, 오심, 냉한, 발열, 안면창백, 혈청 칼슌몽도 저하(지방산, 칼슘-염형성), 췌장농양, 복박염, 패혈증 → 사망 3. 식사요법 1) 절..
[임상영양학] 2. 식도 및 위장질환의 식사요법
식도질환의 식사요법 - 연하곤란, 식도역류 위장질환의 식사요법 - 급성위염, 만성위염, 소화성궤양, 위하수증, 덤핑증후군 1. 연하곤란 - 식도를 통해 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상태 1. 원인 1) 종양, 암으로 인한 폐쇄(기계적 원인) 2) 뇌졸중에서 나타나는 신경계 질환으로 인한 마비 2. 증상 : 후각, 미각, 식욕, 타액분비의 저하, 삼키기 어려움 → 체중감소, 영양소 결핍 3. 관리법 1) 식도를 편하게 하는 식품, 조리 선택 2) 음식을 천천히 섭취, 식나에 물 섭취 3) 적은 양을 자주 섭취 4) 극단적 온도, 자극성음료, 향신료 금함 5) 곧은 자세로 식사, 식후 30분 정도 앉아 있기 2. 식도역류 - 하부 식도 괄약근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해 수축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음 1. 원인 1..
[임상영양학] 1. 병원식의 종류 (1)
* 병원식 : 병원에서 사와 영양사에 의해 처방되고 환자에게 주어지는 식사 1. 일반치료식 1. 유동식 - 목적 : 수분공급(액체, 반액체 상태로 공급) - 적용 : 수술후, 정맥영양→연식이행 전의 환자, 식도,위장관협착, 성형수술, 급성질환환자 1) 맑은유동식 - 위장관자극최소화, 수분·전해질공급(탈수방지, 갈증해소) - 저 잔사식 : 대변용적 늘리는 모든음식제한. 환자가 음식섭취 하면서도 대변량 최소화함으로써 장에 휴식주기위함. 게실염, 궤양성장염, 크론병, 수술전 후. 끓여식힌 물, 맑은장국(기름기 없는) 2) 전유동식(=일반유동식) - 맑은유동식 허용식품 + 기타체온정도의 액체식품, 우유·유제품 2. 연식 - 주식 : 죽식 - 강한 향신료 사용제한 - 저섬유소식, 저결체조직식품 - 생야채, 생과일..
[생애주기 영양학] 10. 운동과 영양 - 영양소 필요량
1. 운동과 영양 - crash diet : 급격한 체중 감소식. 특수한 경기(체급있는)시에 짧은시간, 초 저열량, 단식 → 운동선수가 최고의 운동 수행능력 발휘하려면 체력유지 필수(열량, 당질, 단백질, 지질, 비타민, 무기질, 물, 적당함유) → 균형잡힌 식사 2. 운동선수의 영양소 필요량 - 요인 : 연령, 성별, 체형, 경기종류, 운동량, 훈련수준, 정도 - 청소년기의 운동선수는 성장, 발육에 필요한 에너지 더 고려해야 함 1. 에너지 1. 개인에 따른 에너지 필요량 - 에너지 필요량은 근육 수축 횟수와 비례하여 증가 - 근육수축 시작 > 근육수축상태(에너지, 산소 필요량) ex. 육상, 수영 > 체조 - 계속적인 훈련은 에너지 필요량 7%감소 시킴 → 이유 : 근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움직임, 섭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