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영양학

[생애주기 영양학] 9. 노인기 영양

- 평균수명 : 전체인구의 사망 연령을 평균한 수치

- 기대수명 : 질병없이 사는 나이

 

1. 노인기의 생리적 변화

- 눈의 조절력 : 10대 청소년 때 가장 좋음

- 운동기능 : 20대 전후가 최고

- 생식기능 : 30대부터 저하

- 종합적인 정신기능·기억력 50~70세  되어도 비교적 유지 가능

 

1. 체성분의 변화

- 근육감소, 지방축적

- 지방 조직에는 수분의 함량 ↓ → 체내 수분량도 ↓

- 사람의 골질량 : 30~35세 정점. 그 이후 차츰 감소, 특히 여성의폐경 후 큰 변화가 일어남

 

2. 기초 대사량의 감소

- 근육↓, 지방 ↓ → 기초대사량 ↓(제지방 근량 관련)

 

3. 내분비계의 변화

- 성장호르몬(GH)의 결핍으로 생기는증상

- 성장호르몬 : 20대 이후 매년 1.45%감소, 60대가 넘으면 성장호르몬의 결핍상태(정상의 50%이하)

- 노인에게 성장 호르몬 주사시 근육량 ↑, 골밀도 ↑(칼슘침착으로)

- 여성 : 폐경 후 난손의 위축, 성호르몬(에스트로겐) 감소, 성 호르몬 분비가 남성 호르몬 쪽으로 기울어짐

- 남성 : 테스토스테론 생산량, 혈청농도 점점 감소, 성호르몬 분비가 여성 쪽으로 가까워짐

- 항이뇨 호르몬(ADH)조절 이상 → 요 농축력 저하

 

4. 생리적 조절 기능의 감퇴

- 공복시 혈당 - 정상, 고당질식사 후 혈당 - 증가상태 → 당 부하 혈당이 정상이 아님

- 뇌 신경 전달물질(도파민, 세로토닌, 아세틸콜린) 합성 감소

- 나이 ↑ → 동맥 탄력성 ↓, 도맥 경화성 침착

- 폐포 표면적↓, 탄력성↓ → 폐활량, 호흡기능↓

- 사구체 여과율 ↓ → 대사율 제거 소요시간 ↑

- 신장에서의 요농축력↓(ADH↓) → 수분조절, 균형이 심각한 문제 → 탈수

 

5. 혈액 성분의변화

- 골수에서의 조혈작용 감퇴

- 적혈구의 양↓, 용혈성 증가

- 혈중 콜레스테롤 : 남자- 30세부터 증가, 그 이후 크게 증가하지않음. 여자-가령에 따라 조금씩 증가, 50세 이후 남자보다높아지는 경향, 혈압도 높아짐

6. 감각기능의 감퇴

- 미뢰 수 의 감소, 위축으로 미각이 점차 둔화

- 식염의 과잉섭취 유의

- 후각의 예민도 ↓ → 음식의 냄새 즐길 수 X → 식욕 저하

- 시각세포의수 감소

 

7. 영양소의 소화 흡수 및 대사

- 위액 분비 감소 : HCL(위산), 뮤신(점액질), 효소, IF(내재적 인자): 분비감소 → vit.B12흡수 저해 → 악성빈혈의원인

- 결장(대장)에서 운동성, 탄력성 ↓ → 변비 초래 - 규칙적 운동, 적절한 수분 섭취 필요

1) 당질대사 : 락타제의 양, 활성 ↓

* 원인

- 췌장 β-세포의 인슐린 분비능력 ↓, 근육량

- 근육량↓ (근육- 인슐린에 예민한조직)

- 체지방량 ↑(지방-인슐린에 매우 둔감한 조직)

- 인슐린에 대한 말초조직의 감수성↓

2) 지질대사 : 지질분해의 효소 활성 ↓, 담즙분비 ↓

 

 

 

2. 비만

- 칼로리 과다 섭취 하지 않음, 거동불편으로 인한 활동량 저하, 근육량 감소로 인한 기초대사량 저하

- 굳이 칼로리 섭취 제한 X, 제한 시 영양소 결핍, 몸의 근육량↓ → 거동 불편

- 지나친 식사 제한X, 운동량(가벼운 걷기) 늘려 조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