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영양학

[생애주기 영양학] 1. 성장과 영양

1. 성장과 발달

- 성장, 발달, 노화
- 유전, 환경(영양)

1. 세포분열과 성장과의 관계
- 제 1단계(hyperplasia)
- 제 2단계(hyperplasia & hypertrophy)
- 제 3단계(hypertrophy)

2. scamon의 성장 곡선
- 신체의 각 분위 및 발육상 특징
- 림프형, 신경형, 일반형(성장패턴), 생식기형

3. 두뇌 발달과 영양
- 두뇌의 DNA형성
→ 신경세포 분화 : 태아기 중기(26주경)
→ 신경세포 증식 : 출생직후
- 두뇌·중추신경계
→ 태아기~영아기 초기 급성장
→ 생후 6개월 두뇌의 전 세포수 최대
→ 4세 두뇌의 90% 형성
- 영양부족 → 뇌세포수 감소 = DNA함량 감소(DNA함량 = 세포의 수)


2. 생애주기 구분

- 태아기, 영앙기(출생 후 1년), 유아기(미취학 아동기; 1세~학령기 전까지), 학령기 아동(만6세/초등학생~사춘기 전(중학교전)), 청소년기, 성인기, 노인기

1. 임신기간
- 1단계(배란기) : 수정된 난자가 자궁에 착상하기 까지(약 1주)
- 2단계(배아기) : 2~8주. 세포분열왕성 8주에 완전환 인가의모습갖춤(2.5cm, 1g)
- 3단계(태아기) : 9~40주. 9주 6g → 40주 3~3.5kg(500~600배 증가), 임신중기-신장, 임신말기-체중 최대. 배아기 떄보다 영양불량에 의한 영양 민감

2. 영아기
- 성장속도 가장 빠른시기(출생 시 체중의 2배;생후3개월), 두뇌 신경조직 급격히 발달, 체중증가로 여양앙상태 판단

3. 미취학 학령기 아동
- 근육량 증가, 뼈가 굳어짐, 유아 떄의체지방 없어짐

4. 사춘기, 청년기
- 영아기 다음으로 성정속도 빠른시기
- 사춘기- 여자) 11~14세 - 17세, 남자) 13~16세 - 18~19세
- 남녀 모두 20세 전후로 신장 발달 종결, 근량)25~30세, 골격량) 3~40세 까지 지속적 증가

5. 성인기
- 20세 중반까지 신체기능 발달, 20대 후반부터 각 조직에 부분적 노화현상시작, 50대 이후 급격히 감소
- 성인기 이후 근육량 10년에 2~3%씩 감소 → 기초 대사율 감소
- 심장, 신장, 폐기능 저하(중년기), 뇌.신경꼐는 연령이 증가해도 비교적 잘 유지

6. 노인기
- 키, 몸무게 신체기능의조절능력·기능적 예비능력·세포수 감소, 질별에 대한 감염도 증가
- 기초대사량 감소, 뇌 신경전달물질의 합성 저하, 호르몬의 이용률 저하(내분비계의 변화로 인해), 혈압증가·동맥탄력성저하, 네프론(사구체+보만주머니+세뇨관)수·신장의 혈류량 감소 → 폐세포의 표면적 감소, 폐세포의탄력성 저하 →, 폐기능감소, 위장기능저하(영양소흡수, 소화,대사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