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임신기의 신체적, 생리적 특성
1. 임신기의 생리적 변화
1. 호르몬의 변화
1) 생리주기 - 월경
- 뇌하수체호르몬 :난포자극호르몬(Follicle Stimulant Hormone; FSH), 황체형성 호르몬(Leutenizing Hormone; LH)
- 난소 : 에스트로겐, 프로게스테론
- 난포기 → 배란 → 황체기 → 월경기 → 난포기 → 배란 → 황체기
- 난포기 : 난자, 난포세포 성숙(FSH영향), 자궁내막 증식(에스트로겐) 배란직전에 농도 굉장히 높음
- 배란 : 난포에서 난자가 밖으로나옴(LH의 분비증가로), LH, FSH 굉장히 높아짐
- 황체기 : 에스트로겐, 프로게스테론 분비증가, 자궁내막의 분화증식(프로게스테론) → 수정된 난자가 자궁에 착상하게 도움
2) 임신
- 태반 : 프로게스테론, 에스트로겐 분비, 프로게스테론
→ 프로세스테론 :위장운동의 감소(부수적역할), 지방합성 촉진, 자궁 근육의 수축 억제
→ 에스트로겐 : 뼈의 칼슘방출 저해, PTH분비 자극
- 프롤락틴 : 유즙생성 촉진, 프로게스테론/에스트로겐의 음성되먹이 기전, 자궁수축기능
- 옥시토신 : 유즙분비촉진, 자궁수축 기능, 자궁수축기능
- 알도스테론 : 나트륨보유(부신피질)
- 레닌 - 안지오텐신 : 나트륨, 수분 보유(신장)
→ 몸에 나트륨 보유기전 → 몸이 수는다 / 에스트로겐도 조직내 수분축적 → 부종
- 분만일이 가까워지면 에스트로겐 > 프로게스테론 → 자궁이 수축하여 분만이 이루어짐
2. 대사적 변화
1) 기초대사율
- 기초대사율 상승 : 임신 4개월부터 15~20%증가, 분만 5~6일 째 정상회복, 모체, 태아, 태변에서의 산소 소모량 증가 의미
- 말초혈관 확장 → 열 방출 증가(더움)
- 임신 초기에 무력감, 피곤함 호소, 더 많은 수면 요구
2) 영양소 대사의 변화
- 전반기 : 태아의 영양소 요구량 적음, 에너지 영양소 저장
- 후반기
→ 태아- 필요한 열량의 50~70%를 당질에서 우선적으로 공급받음, 모체 조직의 인슐린 저항성 증가시킴
(인슐린저항성; 혈상이 떨어지지 않음 = 인슐린예민도 = 내당능 장애)
→ 모체 : 지방분해 → 에너지원으로 이용. 공복시 쉽게 혈당저하·지방산 산화촉진, 혈액 내 케톤체 증가
섭취한 아미노산 - 태아조직, 태반형성에 사용(부족 시 모체 단백질 분해하여 이용)
당신생감소 - 알라닌(아미노산)이 주로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우선적응로 공급되므로
3) 혈액학적 변화
- 비 임신시 :혈장량 2.6L
- 임신시
→ 혈장 : 제 1기 말부터 차츰 증가 ~ 임신34주 째(3기)에 약 50% 증가
→ 적혈구 : 임신초기 ~꾸준히 증가 약 18%증가(비 임신시에 비해), 철분 공급시 30%까지 증가
→ 혈액희석 현상 : 헤마토크리트, 헤모글로빈 농도로 알 수 있음
- 총 혈청 단백질 감소(임신초기) : 알부민 감소로 인해, α,β-글로불린 증가
- 지용성 물질이 증가 ( 콜레스테롤 - 에스트로겐, 프로게스테론 (태반) 합성의 전구체)
4) 심혈관계
- 모체의 산소 요구량 증가 → 심박출량 증가
- 임신전반기 : 말초혈관 저항감소 → 혈압감소(5~10mmHg 정도) → 자궁 내, 태반, 신장 드응로 혈액이 원할이 흐르게 함
5) 신장 기능
- 레닌, 알도스테론의 의 분비 활성화 → 신장에서 수분, 나트륨 재흡수증가(혈액, 체액 축적하게 함)
- 혈류량, 사구체 여과률 증가(크레아티닌, 요소, 기타 다른 노폐물(태아, 모체의 대사산물)의배설 용이하게 하기 위함)
- 영양소가 사구체 통해 다량 여과 → but 세뇨관이 전부 흡수 X → 소변 배설
6) 위장기능
- 프로게스테론이 위장 근육도 이완시킴 → 소화장애, 위식도 역류증, 변비원인
2. 임신기 체중의 변화
1. 체중 증가 요인 : 1.25kg정도 증가 - 수분 > 지방 > 단백질 , 40%: 태아, 태반, 양수, 60%: 모체 측 증가(출산 후 모유생성)
2. 바람직한 체중증가량
- 개인적 특성(임신전 체중, 연령, 분만횟수, 다태아임신 등) 에 따라 다름
- 11~16kg이 이상적 증가
- 비만 임산부- 7kg 정도 증가할 것, 다태아 임산부 -16~20kg증가, 노령임산부-12~13kg
3. 비 정상적 체중증가
- 비만임신 : 임신중독증(부종, 고혈압, 단백뇨), 임신성당뇨병, 제왕절개분만, 과체중아 출산
- 저체중임신 : 조산, 저체중아, 미숙아, Apgar(외형, 맥박, 반사반응, 활동성, 호흡)지수 낮은 아기 출산
2. 임산부의 영양섭취
1. 에너지
- 개인별로 요구량 차이 있음
- 에너지 추정량 : 1) 에너지 소비량 증가 2) 태아, 모체 조직의 성자엥 요구되는 에너지 측정량
- 임신2기(340kcal), 3기(450kcal) 추가 섭취
- 에너지 섭취 부족시 → 체중 증가 ↓, 기초대사율, 특이동적 대사율 감소시켜 적응하려는 현상 발생
- 많은 체중 증가 시 : 에너지 ↓, 비타민, 무기질 ↑ 식품 선택
2. 탄수화물
- 임산부의 당질 필요량 : 100g(케톤체 생성 예방할 수 있는 양)
- 케톤체 : 태아의 뇌에 치명적 자주 끼니거르거나 너무적게먹으면X
- 임신기 : 인슐린 민감성(인슐린저항)상태 → 당질 많이 섭취 시 - 모체 : 고혈당상태, 임신성 당뇨 유발
- 섬유소 : 고혈당, 변비 예방 → 비 임신기 여성에 비해 5G추가 섭취
3. 단백질
- 단백질 증가량 : 체중 징가량 중 0.9 ~ 1kg
- 축적량 분포 : 태아-50%(500g), 자궁, 유방조직-25%(250g), 태반-10%(100g), 혈액,양수-15%(150g)
- 단백질 권장섭취량 : 70g(비임산부 :45g + 25)
4. 지질
- 임신 기간 중 과도한 체중 증가는 임신 합병증과 산과적 문제 야기
- 필수지방산 반드시 섭취(ω-3, ω-6)
- DNA, EPA : 태아의 뇌, 망막조직 발달에 필수적 → 등푸른 생선 섭취
5. 비타민
1) 지용성비타민
① 비타민A
- 상피조직(소화관의 점막), 성장, 박육, 세균감영에 대한 저항력, 시력관계되는 비타민
- 과량 섭취 시 기형아출산 유발 : 식품보단 주로 영양보충제 형태, 여드름 치료제 과량 사용시
→ 구순구개열 기형 출산 가능성. 상한섭취량 : 3,000㎍RE
② 비타민D
- 모체, 신생아의 칼슘 평형에 중요 역할 → 임산부 하루 우유 3잔이상 섭취
- 충분 섭취량 하루 10㎍( 5㎍ 추가량)
- vit.D 강화우유, 생선류, 난류 등 식품섭취, 햇빛 쬐기
- 호르몬 ; 표적 조직에 가서 핵에서 특정 단백질 합성 조절하므로
* 표적조직 ; 신장-세뇨관의칼슘 재흡수, 소장-음식중에 섞인 칼슘 흡수
- 과량 섭취시 고칼슘혈증, 독성유발 - 상한섭취량 : 60㎍
2) 수용성 비타민
① 비타민C
- 임신관련 호르몬 분비, 임신 유지에 중요역할(부신, 난소, 태반에 많이 함유)
- 콜라겐 합성에관여 - 태아의 골격, 조직 합성에 필요
- 항산화 기능
- 권장섭취량 : 100mg(10mg 가산량)
- 급원식품 : 감귤류 등의 과일 하루 2회 정도
② 티아민, 리보플라빈, 니아신
- 모체조직, 태아의 성장, 에너지 필요량 증가 고려하여 산정
- 티아민 : 돼지고기, 두류, 육류, 도정하지 않은 곡류
- 리보플라빈 : 우유, 곡류, 육류, 두류, 난류, 녹색채소류 등
- 니아신 : 단백질 식품(트립토만 많음 - 티아신 전환가능 물질)
③ 비타민B6
- 단백질 대사에 관여, 임신기 수유기 다 잘먹어야함
- 태아의 단백질 합성 증가, 단백질 섭취량 증가
- 트립토판(B6를 보조효소로함)으로 부터 니아신으로의 전환 반응 증가
- 신경전달물질의 생성에 관여(아미노산의 탈탄산반응에 관여)
- 권장섭취량 : 2.2mg(0.8mg 추가량)
④ 엽산
- 핵산(DNA), 단백질합성에 관여
- 부족시 : 유산, 임신중독증, 저체중아, 조산아, 선천성기형아, 신경관(임신4주면 완성)장애아의 출생빈도↑
- 권장섭취량 : 600㎍DFE(200㎍DFE추가)
- 상한섭취량 : 1,000㎍DFE(B12부족으로 인한 신경학적 장애 비발견 가능성 우려 - 혈액학적 증후 은폐 가능성)
- 전 세계적으로 임산부의 1/3가량이 불량
- 임신초기, 임신계획 시 부터 엽산섭취 우려
- 푸른잎채소, 두류, 견과류, 엽산 보충제
- 엽산투여 → 고호모시스테인혈증 예방
* 고호모시스테인혈증 : 저체중아출산, 조산아출산, 태반조기박링위험성큼. 고지혈증, 심혈관계 질환 판단지표, B2,B6,B12가 호로미스테인 대사에 관여
6. 무기질
1) 칼슘
- 태아 체조직 생성, 발육
- 임신 3기에 대부분의 칼슘이 태아 체내에 축적
- 모체 : 호르몬분비 : 태반락토겐, 에스트로겐(태반에서 - 신장 재흡수, 소장 흡수, 뼈 용출 X), 혈중 vit.D 증가, 소변으로의 칼슘배설 감소
- 임신 중 칼슘섭취는 신생아의 골격 형성에 더 큰영향 (농도: 탯줄 > 태반 > 모체)
- 권장량 : 1,000 mg(추가량 : 300mg)
- 상한섭취량 : 2,500 mg
2) 철
- 많은 양의 철 필요(3기에 가장 많이 필요)
- 200~300mg의 철 저장(월경정지), 철분흡수율 증가
- 임산부 철 요구량 산정 : 기본적인 철 손실량, 태아 관련 조직에 축적된 철
- 분만시 200mg 정도 소실, 나머지 모체에 저장
- 권장량 : 24mg(추가량 10mg) → 전 후반모두(후반에 급격히 증가할 철 요구량에 대비)
- 급원식품 : 간, 육류, 가금류, 달걀, 도정않은 곡류, 녹황색채소 + vit.C 섭취시 철 흡수율 증가시킴(3가철 → 2가철)
- 우리나라 임산부 - 철섭취 불량 (주로 비헴철 형태(식물성 식품)로 섭취 75%정도)
- 철 보충제의 이용권장
3) 아연
- 알콜탈수효소, SOD에 관여
- DNA, RNA 합성 관여
- 입덧과 관련성 제기
7. 수분
- 임신기 체중 증가의 62%
- 혈액량, 세포외액의 증가, 양수의 생성, 태아측의 요구량에 의해 수분 축적
- 수분 추가 섭취할 필요 X - 식품 통해 수분 섭취 증가하므로
- 되도록 순수한 물, 과일주스, 야채주스 섭취
* 고위험 임신집단
- 10대임산부
- 고령임산부 - 35세이상, 자궁외 임신, 자연유산, 조기분만, 저체중아 출산 가능성 ↑
'영양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생애주기 영양학] 3. 수유기 영양 - 생리적변화, 영양섭취 (0) | 2022.07.18 |
---|---|
[생애주기 영양학] 2. 임신기 영양 - 식사지도, 임신관련문제 (0) | 2022.07.18 |
[생애주기 영양학] 1. 성장과 영양 (0) | 2022.07.14 |
[위생곤충학 정리] 3. 위생해충의 구제 및 구서 - 쥐의 생태 (0) | 2022.07.08 |
[위생곤충학 정리] 3. 위생해충의 구제 및 구서 - 살충제 (0) | 2022.07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