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영양학

[생애주기 영양학] 3. 수유기 영양 - 생리적변화, 영양섭취

1. 수유부의 생리적 변화

1. 유방의 발달과 변화

- 구성 : 유선엽이 유관으로 연결되어 있음

- 유포(=유선세포) : 모유성분합성, 근상피세포(근육-수축성막)로 둘러싸여 있음

- 유관과 유포사이의 조직은 지방, 결합조직, 혈관 등으로 구성 됨

- 지방, 결합조직의 양이 유방의 크기 결정

- 사춘기 : 에스트로겐, 프로게스테로의 작용 → 유선엽, 유관발달, 결체조직, 지방조직증대

- 임신 시 : 유선조직(유관, 유포) 발달, 유방무게 2~3배 증가 

* 유선조직(유관, 유포) 발달 ; 에스트로겐, 프로게스테론, 프롤락틴, 태반락토겐 등에 의해 

- 분만 후

  → 에스트로겐, 프로게스테론의 양 급감(출산직전 농도 최대, 진통시작되며 점점감소 → 출산해도 완전 ↓되지는 않음 → 프롤락틴, 옥시토신 제대로 분비되지 않음)

  → 프롤락틴(뇌하수체 전엽) 증가 → 모유생성

  → 옥시토신(뇌하수체 후엽)증가 → 근 상피세포수축, 자궁근육 수축

 

2. 수유 생리

1) 모유분비 게시

- 에스트로겐, 프로게스테론의 혈액 내 농도가 높아 프롤락틴의 작용 억제 → 출산 즉시 모유분비 이뤄지지 않음

- 대개 분만 후 2~3일부터 적은 양의 초유가 분비됨(500cc정도)

- 점차 유즙량이 증가. 분만 후 1주일 경에 수유 확립

- 가급 적 출산 후 4시간 이내 젖을 빨리는 것이 유즙분비 촉진

- 젖 빠는 자극 

  → 뇌하수체 전엽 '프롤락틴 호르몬' 촉진 → 유포도달 → 모유생성 촉진

  → 뇌하수체 후엽 '옥시토신 호르몬' 촉진 → 우포, 유관 주위의 근상피세포 수축 → 유듀로 분비

  * 옥시토신 호르몬 : 정신적스트레스, 심한통증, 니코틴, 알코올, 피로 등에 의해 억제, 아가의 욺음소리, 시선, 냄새의 자극에 의해 분비량 증가

 

2) 모유분비의 유지

- 충분한 식사 필요 : 음식물섭취량 부족(일 1,500kcal 미만) → 유즙분비량 감소 → 젖의 성분 변화시킴(1,500kcal보다 많이 먹는 건 분비량 차이 없음)

- 모체의 식이 섭취 부족시 : 어느 한계까지는 프롤락틴의 작용을 통한 보상기전에 으해 유즙생성자극. 유즙 분비량 유지

- 유즙을 자주, 완전히 배출, 남은 젖 짜주는 것이 유즙 분비에 도움 됨

- 균형 된 식사를 통해 충분한 영양섭취, 커피, 약물, 흡연 등 삼가기

- 수유부의 감정 상태가 유즙 분비에 직접적인 영향 미침

 

3) 모유 분비량

- 초유(분만 후 1~5일) : 500ml 내외

- 이행유(분만 후 7~10일) : 600ml내외

- 성숙유(분만 후 15일 이후) : 700ml~800ml

- 모유분비량 : 경산부 > 초산부, 영아의 요구량에 따라 증가

- 쌍생아 분만한 수유부는 2,000ml정도 모유분비 할 수 있음

- 5달 부터 모유 줄기 시작 : 이유식 병행하기 떄문. 아이의 모유섭취량 ↓, 엄마의 모유분비량도 ↓

 

* 젖이 잘 나오게 하는 방법

- 아기에게 젖을 자주 먹인다

- 양쪽 유방 모두 이용하며, 유방을 완전히 비우도록 한다

- 유방마사지를 한다

- 음식섭취에 신경쓴다

- 정신적, 육체적 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한다

 

 

 

2. 수유부의 영양섭취 기준

- 일 분비되는 모유 750ml에 함유된 영양소의 함량 고려하여 평균필요량 측정

 

1. 에너지

- 490kcal = 320kcal(필요추정량) + 170kcal(임신기간 축정된 모체의 잉여 체지방에 의해 일부 충족됨)

- 임신기간 중 체중 증가량과 분만 후 체중의 감소를 고려하여 조절

 

2. 단백질

- 9.95 g/일(1일 모유분비량(750ml)에 함유된 단백질 함량) × 100/47(모체 단백질이 모유로 전환되는 효율) × 1.25(개인변이계수1.25%) = 26.5 g/일(약 25g/일)

- 비 임신부 : 45 g   (→ 45 + 25 =70g(임산부가 1일 먹어야 하는 단백질 양))

 

3. 당질

- 수유 부의 당질 섭취기준 없음

- 권장섭취비율(55~70%) 선에서 섭취 권장

- 단순당질 많은 식품보다 복합당징 함유한 식품 선택하기

 

4. 비타민

1. 지용성 비타민

1) 비타민A

- 650(비수유부) + 500 =1,150

- 성장과정에 레티놀 반드시 피룡

- 상한섭취량 : 3,000㎍RE

-고농도의 vit.A 섭취시 흡수율 증가. 쉽게 모유로 분비됨

 

2) 비타민D

- 유즙으로 효과적으로 이행되지 않음

 

 * vit.E, K : 모유로 가지 않음

 

 

2. 수용성 비타민

1) 비타민C

- 모유 중 vit.C함량 우유의 2배이상

- 모유의 vit.C는 주변 환경에 의해 파괴, 상실의 우려 적음 → vit.C의 우수공급원

- vit.C섭취가 모유의 vit.C 함량에 별 영향 없음

- 100(비임신, 비수유부) + 35 = 135mg

 

2) 티아민, 리보플라빈, 니아신

- 수유기간 중 에너지대사 항진과 모유를 통한 분비 떄문에 약 30~50% 정도 증가

- 티아민 : 1.1 +0.4 = 1.5 mg

- 리보플라빈 : 1.2 + 0.5 =1.7 mg

- 니아신 : 14 + 4 =18 mg

 

3) 비타민B6

- 수유기간 중 단백질 요구량이 증가하므로 추가 섭취 되어야 함(단백질 대사과정(PLP)에 관여)

- 1.4 + 4 = 18 mgNE

 

4) 엽산

- 모유생성 위해 엽산 필요량 증가

- 많이 먹어도 증가하지 않음

- 400 +150 =550㎍DFE

 

5. 무기질 

1. 칼슘

- 모유로 분비되는 칼슘 때문에 요구량 증가

- 1일 750ml 중 약 210mg 이 모유로 분비

- 700 + 400 = 1,100mg (수유부의 칼슘흡수율(40%) 감안 + 개인 변수고려(20%))

- 수유기에 칼슘섭취 부족 시 모체는 뼈 용출 → 골다공증 유발

- 유제품, 뼈쨰먹는 생선 등 칼슘 많은 식품 섭취 유의

 

2. 철

- 철 결핍증에 의한 빈혈 : 수유부에 있어 가장 흔한 영양 결핍증

- 수유기간 동안 월경이 정지되므로 수유브의 철 필요량은 비 임신시 여성에 비해 적으나 임신, 출산에 의한 모체의 철 손실 회복하기 위해 철 권장량 14mg(비임신, 비수우뷰와 같음) 상한섭취량45m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