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. 수유부의 식사지도
- 추가권장섭취량 증가비율 : 요오드 > vit.D > vit.C > 아연 > 칼슘 > 단백질 > vit.B6
- 수유기에는 모유의 생성과 분비, 육아와 가사활동 등을 위하여 열량과 단백질 및 다른 영양소의 필요량 증가
- 쌀밥, 미역국 만으로는 불충분 할 수 있음
- 수유부가 금해야 할 것 : 고지방음식, 술, 담배, 커피, 약물복용 등
4. 수유부의 영양문제
1. 수유부의 영양상태와 유즙성분
- 어느정도 영양섭취 부족해도 vit, 지방제외하곤 모유의 영양소성이 수유부의 영양상태 반영하지 않음
- 수유부는 생리적으로 모유생성위한 대사가 가장 우선함 → 모유 성분의 항상성 유지
- 영양불량 심화 → 모체 조직 소모, 궁극적으로 모유생성에 영향을 줌
1. 에너지
- 모유생성에 큰 영향없으나 일 1,500 kcal 이하 섭취 시 혈장 프롤락틴 감소 → 모유량 감소
2. 단백질
- 수유부의 단백질섭취에 영향 받지 않음
- 모체의 저장된 단백질로부터 모유 생성에 필요한 단백질 동원함
- 만성적 단백질 부족 시 모유의 단백질 함량 감소, 수유부의 골격근 감소
3. 지방
- 모유의 지방함량이나 지방산 조정은 수유부의 식사내용 그대로 반영
4. 비타민
- 비타민A, 티아민, 리보플라빈, 비타민B6, 비타민B12 → 수유부 섭취 부족 시 모유 내 이들 비타민 함량 감소, 식사로 보충시 증가
- 비타민D, 비타민K, 비타민C, 엽산 → 모체의 식사 섭취량과 무관하게 일정하게 유지
5. 무기질
- 거의 일정
2. 수유부의 산후비만
1. 산후비만의 원인과 실태
- 분만 시 5.5kg 감소 - 태아, 태반, 양수, 출혈
- 출산 후 첫 주 : 2~3kg 감소 - 혈장, 체수분 감소
- 축적 된 2~4kg의 지방 : 출산 후에도 임신전 체중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체중이 잔류하게 되는 원인이 됨
- 체중 증가요인 : 임신전 체중이 많이나감, 임신 중 체중 증가 폭이 클수록, 임신·분만횟수 ↑, 산모의 연령↑, 교육수준·사회적수준↓
2. 산후 비만관리
- 적게먹기, 많이활동, 모유수유
1) 열량섭취 제한
- 1,500kcal 미만 섭취는 모유 생산 감소 우려. 바람직하지 않음
2) 모유수유
- 모유 생성 위해 일 500~600kcal의 열량 소비
- 모유수유에만 의존하여 체내지방 소비하려면 1~2년 소요됨
3) 생활습관을 변화하도록 한다
- 육아, 가사 및 적절한 운동 등의 육체적 활동 권장
- 관절에 부담가지 않는 유산소 운동, 일 약 300kcal정도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
5. 수유의 중요성과 수유실태
1. 수유의 중요성
1. 수유부 측면
- 자궁수축(옥시토신)의 촉진으로 산후회복이 빨라짐
- 산후우울증 예방
- 산후비만 방지
- 자궁암, 유방암 등의 예방효과
- 골다공증 예방
- 아기와의 깊은 유대관계 형성
- 경제적이고 편리
- 피임효과(최소 5~6개월 간 월경 없음)
2. 아기 측면
- 아기의 성장에 필요한 모든 영양소가 들어있는 완전식품임
- 면역체가 들어있어 소화기 호흡기 질환 감염 예방할 수 있음
- 아기의 정서 발달이 좋음)정서적인 안정감)
- 아기의 구강근육, 안면골격 발달시킴
- 충치발생감소. 치아 배열 좋게 함
- 비만 예방
2. 수유에 영향주는 요인
1. 학력
2. 분만방식
- 제왕절개 시 자연분만보다 모유수유율 감소
3. 모유수유에 대한 교육
4. 분유에 대한 과잉광고
5. 직장여성을 위한 수유 여건 부족
- 모유의 저장기간 : 실온-2시간, 냉장-2일, 냉동-2개월
'영양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생애주기 영양학] 5. 미취학 아동기 영양 (0) | 2022.07.21 |
---|---|
[생애주기 영양학] 4. 영아기 영양 (0) | 2022.07.20 |
[생애주기 영양학] 3. 수유기 영양 - 생리적변화, 영양섭취 (0) | 2022.07.18 |
[생애주기 영양학] 2. 임신기 영양 - 식사지도, 임신관련문제 (0) | 2022.07.18 |
[생애주기 영양학] 2. 임신기 영양 - 임신기특징, 영양섭취 (0) | 2022.07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