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당질
- 2개이상의 수산기(hydroxy, -OH)와 1의 알데히드기(-CHO)나 케톤(=CO)가짐 ; 단당류
- 물 함유하지 않음(Cm(H2O)n)
- 환원성 : 당 자신은 산화되고, 다른 화합물 환원(sucrose, raffinose 제외)
- 환원성 OH기 : α, β 결정(aldose : C₁, ketose : C₂)
1. 단당류
1) 오탄당
- 대개의 단당류
- 소화효소X, 영양가치X
- 핵산성분 : ribose, deoxylibose
- 식물체구성성분 : arabinose(L형으로 존재. 검 ,헤미셀, 펙틴), xylose(볏짚, 밀집, 나무껍질, 종자껍질)
2) 육탄당
- 포도당 : aldohexose, 환원당, 우선성
- 과당 : 감미도, 흡습성, 조해성 큼
점도 작음
ketose형, 환원당, 캐러멜화 쉬움(glucose는 어려움)
유리상태 : pyranose형, 소당류 : furanse형
- 갈락토오스 : 갈락탄(다당류), 세레비오스(당지질)구성.
pyranse형, 결합상태로 존재(유리상태로 존재하지X)
-만노오스 : mannan(곤약성분)
* 과당함유 : inulin, sucrose, raffinose, meleatose, gentianse, stachyose
* 감미도 순서 : 과당>전화당>설탕>포도당>맥아당>갈락토오스>락토오스(젖당)
* 캐러멜화 : 당 160~180℃ 가열시 → 점조성, 갈색물질생성. pH5.6~6.2에서 잘 일어남
* 덱스트린 : 전분을 묽은 산, 효소로 가수분해 시 생성되는 중간산물
전분 → 가용성전분(청색) → amylodextrin(청색) → erythrodextrin(적갈색) → achro(mo)dextrin(담황~무색) → maltodextrin(무색)
2. 단당류 유도체
산화, 환원, 치환에 의해 변화 (deoxy sugar, sugar alcohol, amino sugar, thiosugar, uronic acid)
1) 당알코올
- carbonyl기가 환원
- 5탄당 유도체 : xylitol, ribitol, erithritol
- 6탄당 유도체 : 만니톨, 둘시톨, 이노시톨, 솔비톨
2) 배당체(glycoside)
- 글리코시드성 -OH기(carbonyl기의 수산기) + 비당류성 수산기의 ether 결합
- naringin, rutin, hesperideine, sinigrin, solanin, amygdalin
3) 변성광
- aldehyde형을 중개로 α, β이 상호전환되어 선광도 변화되지 않음
- 배당체에서 나타나지 않음
4) 헤미아세탈(헤미케탈) 결합
- 알데히드기나 케톤기와 다른 -OH간의 분자 내 반응
3. 이당류, 소당류
1) 이당류
- 설탕 : α-1,2 결합, 이성체 없음→ 온도에 의한 감미변화 적음
- 맥아당 : α-1,4 결합, 환원당, 발효성 있음, β-amylase에 의한 분해물, 식혜, 맥아당에도 함유
- 유당 : β -1,4 결합, 정장작용
- cellobiose : β-1,4 결합(glu + glu)
- trehaloose : α-1,1 결합(glu + glu), 환원성X
* isomaltose : α-1,6(glu + glu)
* cellulose : β-1,4 glycoside결합(glu + glu), glucose직쇄결합
* pectin : α-1,4 직홰결합, galacturonic acid
* agar : agarose + agaropectin
2) 소당류
- raffinase : 목화씨, 대두, 면실유(식물종자, 뿌리), 비환원성 - 3당류
- stachyose : 목화씨, 콩 - 4당류
4. 다당류
1) 전분
- 아밀로오스 : α-1,4 결합, 청색, 나선형구조
- 아밀로펙틴 : α-1,4 결합, α-1,6결합, 적자색
- glucoamylose : α-1,6 α-1,4 결합을 포도당 단위로 가수분해
- α-amylose(액화효소) : α-1,4 무작위 가수분해하여 덱스트린 형성
- β-amylose(당화효소) : 비환원성 말단부터 α-1, 4결합 가수분해. maltose단위로 가수분해
* glycogen : 냉수에 용해되어 교질용액이 됨, 요오드반응-적자색(cf. 전분: 청자색), amylopectin 보다 사슬길이 짧아 분자 많음, 구형, α, β로 구분하지 않음
① 호화
- 60~70℃에서 시작
- 수화(25~30% 물 흡수), 팽윤(유화제-팽윤지연), micelle붕괴, gel형성
- 영향인자 : 입자↑(서류>곡류), 수분↑, 온도↑, pH↑(알칼리성, -OH가 호화 촉진)
② 노화
- 입자↓(곡류>서류 밀,옥수수>감자,타피오카), 전분농도↑
- 수분함량 30~60%, pH↓, 황산염(다른 염류는 노화 억제)
- 온도(0~5℃에서 잘 일어남. 60℃ 이상에서 일어나지 X)
- 설탕, 계면활성제, 유화제 사용시 노화억제
*전분의 X선 회절도
생전분 : A, B, C형
호화전분 : V형노화전분 : B형
2) 이눌린- 단순 다당류- β-D-fructofuranse의 β-1,2결합- 식물성 저장 다당류(cf. 동물성 저장다당류 : glycogen), 일부 위산에 의해 소화, 흡수- 다알리아, 돼지감자
3) 펙틴 - 기본구조 : polygalacturonic acid(α-galacturonic acid의 α-1,4 결합)- 고메톡실펙틴 : 산,당 → gelghk- 저메톡실펙틸 - 다가이온(Ca2+) → gel화- protopectin(미숙과일, 거대분자) : pectin의 전구체(protopectin → pectin)
4) 동물성 다당류- chitin, hyaluronic acid, chondrotin sulfate, heparin * heparin : 혈액응고 방지, 점액성 복합 다당류
전분- 청자색(요오드), 식물의 백색체에 저장, α-1,4, α-1,6결합에 의해 구성- 적자색(요오드), 동물의 간, 근육에 저장, 사슬길이 : 전분<아밀로펙틴, α-1,4, α-1,6 결합에 의해 구성가지수 : 전분>아밀로펙틴
*검류- 종실류 : 로커스트빈검, 구아검,타마린드검- 해조류 : 한천, 알긴산, 카라기난 등- 수액류 : 아라비아검, 트라가칸트검 등
*Fehling실험- 환원당(단당류, 이당류(설탕제외)) : 적색침전- 비환원당(이,삼,사당류) : 침전X- 이당류 : sucrose, trehalose- 삼당류 : gentianose, raffinose- 사당류 : stachyose
'영양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식품학] 식품의 맛 (0) | 2022.06.29 |
---|---|
[식품학] 식품의 색소 (0) | 2022.06.28 |
[식품학] 무기질, 비타민, 효소 (0) | 2022.06.27 |
[식품학] 아미노산의 분류 및 특성 (0) | 2022.06.27 |
[식품학] 지질의 분류 및 특성 (0) | 2022.06.24 |